본문 바로가기
언론 & 스마트한 일상 정보/AI

2025 대선 AI 정책 비교 공약 차이 한 눈에 정리

by 그을비 2025. 4. 19.
반응형

김문수 vs 안철수, AI 정책 뭐가 다를까? 2025 대선 핵심 공약 비교

두 방향 화살표와 인공지능 아이콘으로 구성된 일러스트

 

2025 대선을 앞두고 주요 후보들이 인공지능(AI) 산업 육성을 위한 비전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그중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과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각자의 전문성과 철학을 반영한 AI 정책을 내세우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두 사람 모두 ‘AI 3강 도약’을 공통된 목표로 제시하지만, 접근 방식, 예산 방향, 인재 육성 전략에서는 분명한 차이를 보입니다.

■ 김문수의 AI 정책 – 규제 완화형 산업 육성 전략

김문수 후보는 AI를 포함한 산업 전반의 활성화를 위해 규제 완화 및 세제 개편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습니다. 법인세는 24%에서 21%로, 상속세는 50%에서 30%로 인하하고, 기업 민원 전담 수석 신설을 통해 행정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방침입니다.

또한 1조 원 규모의 전통 산업 수출펀드 조성과 함께, 청년 AI 인재 20만 명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그는 한국을 AI 글로벌 3대 강국으로 만들겠다는 비전을 밝히고 있습니다.

■ 안철수의 AI 정책 – 과학기술 기반 초격차 전략

안철수 후보는 AI 정책을 기술 경쟁력 중심으로 접근하고 있습니다. AI, 반도체, 바이오 등 5대 초격차 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R&D 투자 비중을 GDP의 5%까지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2035년까지 세계 AI 3강 진입이라는 목표 아래, 과학기술 인재 100만 명 양성, K-스타트업 펀드 20조 원 조성 등 규모와 구조 중심의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그는 특히 인문학과의 융합을 강조하며 인간 중심의 AI 개발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 김문수 vs 안철수 – AI 정책 비교표
구분 김문수 후보 안철수 후보
정책 방향 규제 완화, 세제 개편 과학기술 기반 미래 전략
주요 투자 전통 산업 수출 펀드 (1조 원) K-스타트업 펀드 (20조 원)
인재 양성 AI 인재 20만 명 과학기술 인재 100만 명
특징 기업 민원 수석 신설 AI + 인문학 융합 강조
■ 알면 더 좋은 정보 – AI 공약 Q&A
  • Q. 김문수의 ‘기업 민원 수석’이란?
    청와대 내 기업 관련 민원을 빠르게 처리하는 전담 수석비서관직 신설
  • Q. 안철수가 강조한 ‘AI + 인문학 융합’은?
    윤리·사회적 수용성을 고려한 인간 중심 AI 개발 철학
  • Q. AI 3강 도약, 현실 가능한가?
    장기적 정책 일관성과 투자 집행이 관건이라는 전문가 분석
  • Q. 현재 한국의 AI 순위는?
    기술력 세계 6~8위권, 인프라와 인재는 선진국 대비 약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