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론 & 스마트한 일상 정보/AI

김문수 vs 안철수, AI 정책 뭐가 다를까? 2025 대선 핵심 공약 비교

by 그을비 2025. 4. 19.
반응형

김문수와 안철수의 AI 정책, 무엇이 다를까? – 2025 대선 핵심 전략 비교

2025년 대선을 앞두고 주요 후보들이 인공지능(AI) 정책을 잇달아 발표하며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특히 김문수 전 장관과 안철수 의원은 AI 정책에서 명확히 다른 전략을 제시하며 차별화에 나섰습니다. 그렇다면 두 후보의 접근 방식과 방향성은 어떻게 다를까요?

■ 김문수의 AI 정책 – 규제 완화 중심의 산업 활성화

김문수 후보는 AI 산업 육성을 위해 규제 완화와 세제 개편을 강조합니다. 법인세 인하(24%→21%)와 상속세 축소(50%→30%)를 통해 기업 투자를 유도하고, 청년 AI 인재 20만 명 양성 및 1조 원 규모의 전통산업 수출펀드를 조성해 경제 전반의 성장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기업 불편을 신속히 해소하기 위한 '기업 민원 수석비서관' 신설 공약도 함께 제시하며, 산업 중심형 AI 정책을 설계하고 있습니다.

■ 안철수의 AI 정책 – 과학기술 기반의 미래 전략

안철수 후보는 AI를 포함한 초격차 기술 분야(AI, 반도체, 바이오 등)의 집중 육성을 내세우며, 2035년까지 AI 글로벌 3강 진입을 목표로 설정했습니다. GDP 대비 R&D 투자 비중을 5%까지 끌어올리고, 과학기술 인재 100만 명 양성, 20조 원 규모의 K-스타트업 펀드 조성 등을 통해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강조합니다.
또한, 그는 AI와 인문학의 융합을 중요하게 보며, 인간 중심의 기술 발전과 공공성 확보를 함께 고려한 정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 김문수 vs 안철수 – AI 정책 비교표
정책 방향규제 완화 중심미래기술 중심 전략
세제/재정법인세·상속세 인하20조원 스타트업 펀드
인재 육성AI 인재 20만명과학기술 인재 100만명
추가 특징기업 민원 수석 신설AI + 인문학 융합 강조
■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