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동인증서, 앱으로 직접 발급하는 방법 정리해봤어요
예전엔 공동인증서를 발급하려면 은행 창구를 직접 방문하거나, PC에 복잡한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했어요. 하지만 요즘은 대부분의 은행 앱에서 간편하게 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게 바뀌었어요.
특히 스마트폰 사용에 익숙한 분들이라면 앱을 통한 발급이 더 빠르고 편리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시중 은행 앱을 통해 공동인증서를 발급받는 방법을 하나씩 정리해드릴게요.
앱별 공동인증서 발급 방법
국민은행 (KB스타뱅킹)
- 앱 실행 → 로그인
- 하단 메뉴 ‘전체’ → “인증/보안” 선택
- “공동인증서 관리” → “인증서 발급”
- 본인 계좌번호 + 비밀번호 입력
- 새 비밀번호 설정 → 발급 완료
신한은행 (쏠 SOL)
- 앱 실행 → 로그인
- 전체 메뉴 → “공동/금융 인증서”
- “공동인증서 발급/재발급” 선택
- 본인 인증 (휴대폰 or 계좌)
- 비밀번호 설정 → 발급 완료
우리은행 (WON뱅킹)
- 앱 실행 → 로그인
- 메뉴 → “인증센터” → “공동인증서 발급/재발급”
- 절차 진행 후 비밀번호 설정 → 발급 완료
농협 (NH스마트뱅킹)
- 앱 실행 → 로그인
- 전체 메뉴 → “공동인증센터”
- “공동인증서 발급” 선택
- 계좌 또는 휴대폰 인증 → 비밀번호 설정 → 완료
금융결제원 인증센터 앱
- ‘금융인증센터’ 앱 실행
- ‘인증서 발급’ 선택 → 은행/카드 본인 인증
- 범용 or 기본 인증서 선택 → 비밀번호 입력 → 완료
발급 후, PC에서 사용하는 방법은?
해당 은행 앱의 “PC로 인증서 복사” 기능을 사용하면 QR코드나 인증번호로 쉽게 옮길 수 있어요. USB 없이도 가능해요.
인증서 유효기간도 꼭 확인하세요
공동인증서는 유효기간이 보통 1년이고, 자동 갱신되지 않아요. 앱에서 갱신 알림을 꼭 확인하세요.
앱에서 발급했는데 인증이 안 되는 경우?
금융기관 전용 인증서는 홈택스 등 공공기관 로그인에 제한이 있어요. 이럴 땐 금융결제원 앱이나 범용 인증서를 추천해요.
비밀번호 설정 팁
비밀번호는 영문+숫자+특수문자 포함, 10자리 이상이어야 하고 너무 단순하면 발급이 거절될 수 있어요.
함께 보면 좋은 글
마무리
예전엔 공동인증서 하나 만들자고 은행에 가거나 PC에서 복잡한 설치를 해야 했지만, 지금은 앱만 있으면 대부분 해결할 수 있어요.
상황에 따라 직접 방문이 필요한 경우도 있지만, 가능하다면 모바일 발급을 먼저 시도해보는 것도 충분히 괜찮은 선택입니다.
처음엔 메뉴 찾기가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차근차근 따라가면 누구나 가능합니다.
'언론 & 스마트한 일상 정보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텔레콤 대표 사과… 전 고객 유심 무상 교체, 4월 28일부터 시작 (3) | 2025.04.25 |
---|---|
공동인증서 발급, 온라인이 편할까? 직접 가는 방법까지 정리해봤습니다 (0) | 2025.04.25 |
상업적 사용 가능한 무료 이미지 사이트 TOP5 (2) | 2025.04.25 |
카카오페이 포인트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 (0) | 2025.04.25 |
토스 vs 카카오페이 비교 – 어떤 앱이 더 편하고 이득일까? (1) |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