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 & 스마트한 일상 정보/사회

전입신고하면 투표소 바뀌나요? 이사한 날을 포함해서 14일 이내 신고해야 하는 이유

그을비 2025. 5. 3. 09:00
반응형

전입신고하면 투표소 바뀌나요? 이사한 날을 포함해서 14일 이내 신고해야 하는 이유

 

전입신고하면 투표소가 왜 바뀌나요?

대통령선거나 지방선거처럼 공식 선거일에 투표소는 주민등록 주소지를 기준으로 지정됩니다. 따라서

주소지를 옮기고 전입신고를 하면, 투표소도 변경되는 것

입니다.

하지만 그 변경이 반영되기 위해서는 일정 기한 내에 신고가 완료돼야 합니다.

언제까지 전입신고해야 투표소가 바뀌나요?

2025년 6월 3일 대선 기준,

새 주소지에서 투표하려면 전입신고 마감일은 5월 2일(금)입니다.

이는 5월 3일(토)부터 6일(화)까지가 관공서 휴무기간이라, 행정처리가 되지 않아 5월 6일까지 선거인명부에 반영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즉, 새 주소지에서 투표하려면 반드시 5월 2일까지 전입신고를 완료해야 합니다.

※ 일반적인 전입신고 마감일은 ‘이사일 포함 14일 이내’이며, 선거 전입신고 마감일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연휴에 온라인 전입신고하면 어떻게 되나요?

많은 분들이

정부24 전입신고

를 통해 온라인으로 전입신고를 진행하지만, 연휴(5월 3~6일) 중 접수된 신고는 실제 처리일이 5월 7일 이후입니다.

따라서 온라인 전입신고를 연휴에 접수하더라도 투표소는 기존 주소지를 기준으로 지정되니, 반드시 그 전에 신고를 마쳐야 합니다.

전입신고 방법과 절차

  • 인터넷 전입신고: 정부24(www.gov.kr) → 전입신고 메뉴
  • 오프라인 전입신고: 주민센터 방문
  • 전입신고 확정일자: 임대차 계약 증명 등 필요
  • 주소이전 전입신고: 단순 주소변경도 전입신고 대상
  • 전입신고 퇴거신고: 전입지 신고 시 자동 처리되는 경우 많음

 

FAQ: 주소이전·퇴거신고·확정일자 관련

Q. 전입신고 안 하면 어떻게 되나요?
→ 투표소는

기존 주소지 기준

으로 지정되며, 선거 외에도 혜택 누락 가능성 있습니다.

Q. 온라인 전입신고는 언제 처리되나요?
→ 주말이나 공휴일 접수 시

다음 정상근무일에 처리

되며, 확정일자 반영은 서류에 따라 차이 납니다.

Q. 전입신고 퇴거신고는 따로 해야 하나요?
→ 대부분 전입지 신고만 해도 자동 처리되며,

세대 분리 시에는 별도 퇴거신고가 필요

할 수 있습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마무리 – 전입신고

전입신고 투표소 변경

은 단순 행정 처리가 아니라 당일 투표권 행사의 실질적 기준이 됩니다. 사전투표는 전국 어디서나 가능하지만, 대선 당일 투표소는 반드시 주소지 기준임을 기억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