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론 & 스마트한 일상 정보/IT

청첩장 위장 스미싱 증가! 피해 사례부터 예방법, 보안 앱까지 총정리

by 그을비 2025. 4. 19.
반응형
청첩장에서 악성코드가 나타나는 모습을 묘사한 무테 단순 일러스트, 청첩장과 벌레 형태의 바이러스 캐릭터
청첩장 속 악성코드, 당신도 노릴 수 있습니다

최근 보안뉴스 보도에 따르면, 모바일 청첩장을 위장한 스미싱 공격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문자나 SNS로 전송된 링크를 클릭하면 악성 앱이 자동 설치되며,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금융정보를 탈취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악성 앱은 모바일 백신 앱을 강제로 종료하거나 삭제하며, 문자 메시지를 탈취하고 스미싱을 자동으로 퍼뜨리는 기능까지 포함하고 있습니다.
관련 보안뉴스 기사 보기

2025년 기준 스미싱 관련 통계
  • 탐지 건수: 약 210만 건
  • 범죄 발생 건수: 4,396건
  • 피해 금액: 약 546억 원
  • 사칭 비중: 공공기관(59.4%), 지인 사칭(15.5%), SNS 계정(16.9%)
피해자가 당하는 주요 피해 유형
  • 청첩장 위장 문자 클릭 → 악성 앱 자동 설치
  • 모바일 백신 강제 종료 및 삭제
  • 문자·인증번호 탈취 후 금융앱 접근
  • 카카오페이, 토스 등을 통한 무단 송금
예방법 및 대응 방법
    • 출처 불명의 링크 클릭 금지
    • 청첩장·부고장 메시지는 꼭 지인에게 사실 확인

  • 모바일 보안 앱 설치 후 주기적 검사
  • 문자 차단 기능 및 통신사 보안 서비스 활용
  • 피해 발생 시 경찰청(112), 금융감독원(1332) 즉시 신고

카카오페이 해킹 피해 방지법 보기

스미싱 예방에 효과적인 앱 추천
  • V3 모바일 시큐리티 - 스미싱 문자 탐지 및 악성 앱 차단
  • V3 모바일 시큐리티 자세히 보기
  • 알약M - 가벼운 보안 앱으로 실시간 검사 지원
  • 알약M 자세히보기
  • 후후 - 스팸 문자 및 발신자 정보 확인 기능
  • 후후 자세히 보기
  • U+ 스팸차단 (LG U+) - 문자 및 전화 차단 필터 기능
마무리하며

청첩장 링크로 위장된 스미싱 공격은 누구든 피해자가 될 수 있는 현실적인 위협입니다. 클릭 전에 반드시 의심하고, 모바일 백신 앱을 통해 보안 수준을 높이는 것이 가장 확실한 예방책입니다.
이 글이 유익하셨다면 주변에도 공유해 주세요. 당신의 정보가 누군가의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