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론 & 스마트한 일상 정보/경제

이더리움 시세 분석 2025년 – 금리, ETF, 그리고 반등 시나리오

by 그을비 2025. 5. 11.
2025년에도 이더리움은 여전히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격은 생각보다 빠르게 오르지 않고 있죠. 그 이유는 무엇이고, 지금이 저점일 가능성은 있을까요? 금리, ETF 승인, 기술적 분석까지 주요 변수를 중심으로 정리합니다.

이더리움, 2025년 현재 시세 흐름

2025년 5월 기준, 이더리움은

약 3,100~3,300달러 구간

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는 2021~2022년 고점에 비해 아직 낮은 수준이지만, 2023년 말부터의 상승 흐름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예요.
시장의 심리는 아직 ‘불확실성’에 무게를 두고 있고, 대규모 자금 유입보다는 기관의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2025년 5월 이더리움 시세 차트, 트레이딩뷰 기준 ETH/USD 일일 그래프

미국 금리 인하 가능성과 코인 반응

연준(Fed)은 최근 발표에서

2025년 하반기 금리 인하 가능성

을 열어뒀습니다. 이 소식은 이더리움 같은 자산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데요, 금리가 내려가면 위험자산으로의 자금 흐름이 다시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아직 확정된 건 아니기 때문에, ‘기대감은 있지만 실제 반영은 지연 중’인 상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ETF 승인 여부와 가격 영향

2024년 말 비트코인 ETF가 승인된 이후,

이더리움 ETF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SEC는 공식 입장을 밝히진 않았지만, 2025년 하반기에는 일부 변동성이 생길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어요.

ETF가 승인될 경우, 기관 투자 유입이 본격화되며 가격이 한 단계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상 일정 내용
2025년 6~9월 ETF 검토 관련 회의 개최 가능성
2025년 10~12월 1차 승인 여부 결정, 지연될 경우 2026년 초로 이월 가능

기술적 반등 시점, 지금이 저점인가?

기술적 분석으로 보면, 현재 이더리움은

200일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중립~반등 초입’

단계에 있습니다. MACD 지표나 RSI도 과매수는 아닌 상태이기 때문에, 단기 급락보다는 횡보 후 반등 가능성이 조금 더 우세하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다만 ETF 등 호재가 구체화되지 않으면, 횡보가 장기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 결론 요약:
현재 이더리움은 과매수도 과매도도 아닌 상태. ETF나 금리 인하라는 외부 변수만 확정된다면, 3,000달러 초반이 저점이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다만 변수가 많으니 분할 매수 전략이 가장 현실적입니다.

관련 글 바로가기